포스트

atomic 타입과 Ordering 열거형

atomic type and Ordering enum

atomic 타입과 Ordering 열거형

개요

램(RAM)은 생각보다 느립니다. 물리적으로 봐도 CPU와 램은 떨어져있죠. 이들이 데이터를 주고받느라(사이클) 꽤 많은 사이클을 소비합니다.

CPU는 어떠한 연산을 1번만에 처리하는 반면, 램과 데이터를 주고받느라 여러 사이클을 돌려야 하기 때문입니다. 그럼 어떻게 해야할까요?: 램을 CPU에 박아 넣으면 됩니다. (물리적으로)

CPU 마다 다르겠지만, CPU의 구조는 대충 이렇게 생겼습니다:

  • MC (Memory Controller): 램과 소통하는 역할입니다. 여기서 램 슬롯 등을 제어합니다.
  • Core: CPU의 그 코어가 맞습니다.
  • Cache: 우리가 찾던 CPU에 박혀있는 램입니다. (물리적으로 Core 보다 더 큰 사이즈를 가지고 있습니다.) (L1, L2, L3 등)
  • … 그리고 misc (minimal instruction set computers), qpi (quick path interconnect) 등이 있습니다. 우리가 알아야할 것은 아닙니다.

Cache (캐시) 부분을 봅시다: L18~64KB 정도로 제한됩니다. L2L3는 이것보다 더 크며, L38MB 정도 됩니다. 우리가 생각하는 8GB 정도의 램은 아닙니다. 그러니깐 이름이 캐시 메모리죠.

아무튼 캐시를 사용하면, 램의 사이클보다 더 적은 사이클로, 빠르게 처리할 수 있습니다.CPU가 특정 주소의 데이터에 접근하면, 먼저 캐시에서 찾습니다. 있으면 그 값을 읽고 (cache hit), 없으면 램에 접근합니다. (cache miss) 그리고, 그 값을 캐시에 저장합니다.

그런데 캐시는 상당히 제한되어있습니다: 당연하겠지만, CPU는 자주 접근하는 주소를 모르기 때문에, 그냥 무식하게 다 찼으면 CPU 마다 다른 방식으로 처리합니다.

여기서 등장하는 다른 용어가 있습니다: CPU 파이프라이닝 (pipelining)입니다. 매우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병렬 처리를 위해 존재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블로그 카테고리 > 컴퓨터 구조를 참고하세요.)

예를 들어, 4단계의 어떤 사이클이 있다고 생각합시다. 한 사이클을 돌고 다른 사이클을 실행하는 것 보단, 동시에 실행하는 것이 효율적일 것입니다.

명령어의 처리 단계는 다음과 같습니다 (설명하는 곳마다 다를 수 있습니다만, 대부분 4단계를 거칩니다.):

  1. fetch: 명령어를 읽음
  2. decode: 명령어 해석
  3. execute: 명령어 실행
  4. write: 결과를 씀

파이프라인을 사용하며, 이러한 단계를 병렬로 처리할 수 있습니다:

예를들어, 아래와 같은 (유사)코드가 있다고 합시다:

1
2
A: memory[0] = 1
B: memory[1] = 2
명령어 t1 t2 t3 t4 t5
A fetch decode execute write  
B   fetch decode execute write

실행 단계가 겹치지만 않는다면, 위와 같이 처리하여 병렬로 처리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다음과 같은 (유사)코드를 보겠습니다:

1
2
3
4
A: memory[0] = 1
B: memory[1] = 2
C: memory[2] = memory[0] + memory[1]
D: memory[3] = 3

C는 A와 B가 끝나야 실행할 수 있습니다. 때문에, 이럴 경우 파이프라인 해저드가 발생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컴퓨터 구조에서 다룹니다.) 하지만 D는 위 A, B, C와 관련이 없지만, 순차적으로 실행된다면 C가 끝나야 실행할 수 있습니다.

명령어 t1 t2 t3 t4 t5 t6 t7 t8 t9 t10
A fetch decode execute write            
B   fetch decode execute write          
C           fetch decode execute write  
D             fetch decode execute write

컴파일 시 효율성을 위해 명령어 재배치가 일어날 수 있습니다. 말 그대로, 명령어가 재배치가 되는 경우입니다.

위 파이프라인 해저드 예제를 아래와 같이 재배치 한다면 어떨까요?:

1
2
3
4
A: memory[0] = 1
B: memory[1] = 2
D: memory[3] = 3
C: memory[2] = memory[0] + memory[1]
명령어 t1 t2 t3 t4 t5 t6 t7 t8 t9
A fetch decode execute write          
B   fetch decode execute write        
D     fetch decode execute write      
C           fetch decode execute write

이런 경우를 비순차적 명령어 실행(out-of-order execution)이라고 합니다.

그런데 이렇게 자기 마음대로 수정해버리면, 그것이 제대로 작동한다는 보장이 있을까요? 컴퓨터가 100% 정확하진 않기 때문에, 이를 보완하기 위해 수정 순서(modification order)가 존재합니다. 이는 어떤 값에 대한, 값의 변화를 기록합니다.

예를 들어, 변수 foo를 선언하고, 3개의 스레드 A, B, C를 동시에 실행합니다.

  • A 스레드: foo1을 대입. 그리고 약간의 딜레이 후, foo2를 대입: 이때의 수정 순서는 1 -> 2가 됩니다.
  • B 스레드: foo3을 대입. 그리고 foo2번 읽음: 이때의 수정 순서는 3 -> 4 -> 2가 됩니다.
  • C 스레드: foo를 읽음. 그리고 foo4를 대입. 그리고 foo를 읽음: 이때의 수정 순서는 1 -> 4 -> 2가 됩니다.

좀 복잡하게 설명했지만, 우리가 볼 것은 다음과 같습니다:

만약 어떤 스레드가 3을 읽었다면, 다음엔 3, 4, 2 중 하나가 읽합니다. 위에서 서술하지 않는 내용이 있는데, 바로 캐시는 코어마다 가지고 있습니다. (ex, Core 1L1, L2, L3)

만약 캐시에서만 3을 기록하고 있다면, 다른 코어에선 그 값이 3 인 것을 보장할 수 없습니다. 즉, 동기화 작업은 시간을 많이 소비하는 작업입니다.

atomic

서론이 좀 길었는데, 본론으로 돌아와 atomic에 대해 알아봅시다.

C++로 먼저 atomic에 대해 접해보았다면 러스트에서도 비슷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atomic은 원자적 연산 (한 번에 일어나는 명령어 연산) 입니다. 1개의 명령어 이므로, 처리했다와 안했다로만 존재합니다. (어셈블리어 코드에 lock 접두어가 포함되게 되는데, lock은 CPU 명령어 실행 사이클을 한번에 처리합니다.)

atomic을 사용하는 예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use std::{
    sync::{atomic::*, *},
    time::*,
    *,
};

fn main() {
    let spinlock = Arc::new(AtomicUsize::new(1));

    let t = {
        let spinlock_clone = Arc::clone(&spinlock);

        thread::spawn(move || {
            while spinlock_clone.load(Ordering::Relaxed) == 1 {
                hint::spin_loop();

                thread::sleep(Duration::from_secs(2));

                spinlock_clone.store(3, Ordering::SeqCst);
            }
        })
    };

    while spinlock.load(Ordering::SeqCst) != 3 {
        hint::spin_loop();

        if spinlock.load(Ordering::SeqCst) == 3 {
            println!("{}", spinlock.load(Ordering::SeqCst));
        }
    }

    t.join().unwrap();
}

Spin Lock은 다른 스레드가 어떤 리소스를 Lock 하고 있다면, 현재 스레드를 기다리고, 락이 풀리면 현재 스레드가 그 리소스에 접근하는 동기화 기법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 글에서 다루지 않습니다.

Ordering

위 코드에서 처음 보는 것들이 많이 등장했습니다: 바로 Ordering 열거형입니다.

  • Relaxed (store, load, modify): 가장 느슨한 조건입니다. 즉, 다른 메모리 접근들과 순서가 바뀌어도 무방합니다. 아무런 제약이 없으므로, CPU 마음대로 재배치가 가능합니다. (결과가 동일하다면)
  • Release (store, modify), Acquire (load, modify): Relaxed는 아무런 제약이 없어서, 사실상 Atomic을 쓸 이유가 없어집니다. ReleaseAcquire는 그것보단 조금 더 엄격합니다: Release는 재배치를 금지합니다. Acquire로 읽는다면, Release 이전의 명령어들이 스레드에 의해 관찰될 수 있어야 합니다.
  • AcqRel (modify): Acquire + Release
  • SeqCst (store, load, modify): SeqCst는 순차적 일관성(Sequential Consistency)을 보장합니다. 쉽게 말해서 재배치도 없고 모든 스레드에서 동일한 값을 관찰할 수 있습니다. 대신 동기화 비용이 클 수 있습니다.

또한, storeload 함수는 atomic 객체에 대해 쓰기 및 읽기를 가능케 하는 함수입니다. 이 함수의 인자에 Ordering 열거형이 전달됩니다.


그런데 우린 의문점이 하나 있습니다: “왜 Atomic은 제네릭(Atomic<T>)을 사용하지 않는가?” 이겠죠.

C++에서도 클래스 템플릿을 사용하여, atomic을 제네릭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atomic<T>)

그 이유는 생각보다 간단한데, 예를 들어, Atomic<[usize; 3]> 같은 건 하드웨어가 지원하지 않습니다.

이것의 해결법은 atomic 크레이트Mutex<T>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물론 둘 모두 Atomic의 작동 방식과는 다르긴 합니다.

Atomic은 하드웨어와 동시성 프로그래밍을 둘 다 이해하고 있어야 함으로, 상당히 어려운 개념에 속합니다.

이해하지 못했다면, 그냥 Mutex<T>RwLock<T>을 쓰는것이 올바른 선택입니다.